Cisco Packet Tracer 라우터 설정 및 연습문제를 풀어보는 시간을 오늘은 가져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가장 기초가 되는 네트워크 이론을 학습하고,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Cisco Packet Tracer를 사용해 실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뮬레이터를 통해서 장비를 세팅하고 직접 통신해보고 하는 것이 이론만 공부하는 것 보다 훨씬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Cisco Packet Tracer 라우터 설정
라우터에 WIC-2T 장착
1. 라우터 물리적 설정창 열기

2. 라우터 전원 끄기

3. WIC-2T 장착 및 라우터 전원 켜기
WIC-2T는 2 Port Serial WAN 인터페이스 카드(WAN Interface Card)

라우터 케이블 연결
1. 케이블 선택

2. 서로 다른 두 개의 라우터 연결

라우터 설정
1. 네트워크 구성도 확인

2. 라우터 CLI 창 열기
실제 라우터와 노트북을 콘솔 포트에 연결해 작업하지만,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는 편의를 위해 CLI를 제공

3. 라우터 기본 세팅
- '>'는 사용자 모드 : 제한된 명령어만 사용 가능 (거의 사용할 기능 없음)
- '#'는 관리자 모드 : 기본적인 디렉토리 생성, 삭제, 조회 등 설정
- '(config)' 전역 모드 : 라우터, 스위치 등 전역에 영향을 주는 설정
do <command> : 전역 모드에서 빠져 나가지 않고 관리자 모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자동완성 X)
Router> enable | 관리자 모드 로그인 |
Router# configure terminal | 전역(전체) 설정 모드로 진입 |
Router (config) # hostname Seoul_R1 | 시스템의 네트워크 이름을 설정 |
Seoul_R1 (config) # enable password pwd | 관리자 패스워드 설정 (암호화 X) |
Seoul_R1 (config) # enable secret pwd1 | 관리자 패스워드 설정 (암호화 O) |
Seoul_R1 (config) # service password-encryption | 시스템의 패스워드를 암호화 |
Seoul_R1 (config) # no ip domain-lookup | 도메인을 찾지 말라는 명령 |
Seoul_R1 (config) # do write | running-config 파일에 설정 정보를 저장 |
4. 라우터 인터페이스 세팅 (Seoul_R1)
- '(config-if)' 인터페이스 모드 : fastEthernet, GigabitEthernet, Serial 등 인터페이스 설정
Seoul_R1 (config) # interface fastEthernet 0/0 | fastEthernet 0/0 인터페이스 설정 |
Seoul_R1 (config-if) # ip address 100.100.100.254 255.255.255.0 | IP Address 설정 |
Seoul_R1 (config-if) # no shutdown | 활성화 |
Seoul_R1 (config-if) # exit | 현재 모드를 빠져나간다(이전 모드로 이동) |
Seoul_R1 (config) # interface serial 0/0/0 | serial 0/0/0 인터페이스 설정 |
Seoul_R1 (config-if) # ip address 1.0.0.1 255.255.255.252 | IP Address 설정 |
Seoul_R1 (config-if) # clock rate 4000000 | 시리얼 인터페이스 'clock rate' 설정 |
Seoul_R1 (config-if) # no shutdown | 활성화 |
Seoul_R1 (config-if) # do write | running-config 파일에 설정 정보를 저장 |
5. 라우터 인터페이스 세팅(Busan_R1)
Busan_R1 (config) # interface fastEthernet 0/0 | fastEthernet 0/0 인터페이스 설정 |
Busan_R1 (config-if) # ip address 200.200.200.254 255.255.255.0 | IP Address 설정 |
Busan_R1 (config-if) # no shutdown | 활성화 |
Busan_R1 (config-if) # exit | 현재 모드를 빠져나간다(이전 모드로 이동) |
Busan_R1 (config) # interface serial 0/0/1 | serial 0/0/1 인터페이스 설정 |
Busan_R1 (config-if) # ip address 1.0.0.2 255.255.255.252 | IP Address 설정 |
Busan_R1 (config-if) # no shutdown | 활성화 |
Busan_R1 (config-if) # do write | running-config 파일에 설정 정보를 저장 |
6. Seoul_R1, Busan_R1 라우터 ping 테스트
# Seoul R1에서 Busan_R1으로 ping 테스트
Seoul_R1# ping 1.0.0.2
# Busan_R1에서 Seoul R1으로 ping 테스트
Busan_R1# ping 1.0.0.1
7. 라우팅 테이블 설정
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에서 사용 중인 모든 대상에 대한 경로의 저장소입니다.
# Seoul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
Seoul_R1# ip route 200.200.200.0 255.255.255.0 se0/0/0
# Busan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
Busan_R1# ip route 100.100.100.0 255.255.255.0 se0/0/1
8. Server, PC ping 테스트
Server, PC에서 ping 테스트(프롬프트) 하는 법
# Seoul Server -> Busan Server
C:\> ping 200.200.200.1
# Seoul Server -> Busan PC
C:\> ping 200.200.200.2
# Seoul PC -> Busan Server
C:\> ping 200.200.200.1
# Seoul PC -> Busan PC
C:\> ping 200.200.200.2
# Busan Server -> Seoul Server
C:\> ping 100.100.100.1
# Busan Server -> Seoul PC
C:\> ping 100.100.100.2
# Busan PC -> Seoul Server
C:\> ping 100.100.100.1
# Busan PC -> Seoul PC
C:\> ping 100.100.100.2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 멀티유저(Multiuser) 설정 (0) | 2023.08.07 |
---|---|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Packet Tracer) 기초 연습 (0) | 2023.08.02 |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 설치 및 사용법(Cisco Packet Tracer) (0)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