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Packet Tracer) 기초 연습
이더클라우드
2023. 8. 2. 00:11
반응형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Packet Trace) 기초 연습을 오늘은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어제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간단한 문제를 풀어보고 'End Devices' IP 설정 및 Ping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스코 패킷 트레이서 기초 연습
IP, Subnet Mask, Default Gateway, DNS 값 구하기
문제의 100.100.100.0/24의 전체 범위와 유효 범위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100.100.100.0 - 100.100.100.255 전체 범위
- 100.100.100.1 - 100.100.100.254 유효 범위
Server의 설정값
- IP: 100.100.100.1 (조건 중 네트워크 대역 앞쪽부터 순차적 사용)
- SM: 255.255.255.0 (문제에서 나온 '24' prefix 값을 변환)
- DG: 100.100.100.254 (조건 중 네트워크 대역 가장 끝 IP를 사용)
- DNS: 100.100.100.1 (조건 중 Server의 IP를 사용)
PC의 설정값
- IP: 100.100.100.2 (Server IP의 다음 IP Address 사용)
- SM: 255.255.255.0 (문제에서 나온 '24' prefix 값을 변환)
- DG: 100.100.100.254 (조건 중 네트워크 대역 가장 끝 IP를 사용)
- DNS: 100.100.100.1 (조건 중 Server의 IP를 사용)
Server와 PC IP Configuration
1. Server 선택 및 IP Configuration 실행
2. Server 설정값 입력
3. PC 선택 및 IP Configuration 실행
4. PC 설정값 입력
Server와 PC Ping 테스트
1. Server 선택 및 Command Prompt 실행
2. Server에서 PC로 Ping 테스트
3. PC 선택 및 Command Prompt 실행
4. PC에서 Server로 Ping 테스트
오늘의 한 줄
아직은 서브네팅(Subetting)이 암산으로 빠르게 안 되는 것 같다. 아직은 쉬운 문제로 연습하고 있지만, 인터넷에 있는 다양한 문제를 풀면서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겠다.
반응형